본문 바로가기
경제 세금

2025년 주거급여 지원 금액 및 신청 자격

by 박_은애 2025. 1. 30.

2025년 주거급여 지원 금액 및 신청 자격

주거급여는 경제적으로 어려운 가구의 주거비 부담을 줄여 안정적인 주거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정부 지원 제도입니다. 2025년에는 기준 중위소득이 6.42% 인상됨에 따라 지원 대상이 확대될 예정입니다. 이에 따라 더 많은 가구가 주거급여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임차가구와 자가가구에 대한 지원금도 상향 조정됩니다.

2025년 임차가구 주거급여 지원 금액

임차가구의 경우, 지역별 기준임대료가 2024년 대비 1.1만 원에서 2.4만 원이 인상되었습니다. 이는 임차가구의 실질적인 임대료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조치입니다.

지역별 지원 금액 (월 기준임대료)

  • 서울(1급지): 1인 가구 35.2만 원, 4인 가구 54.5만 원
  • 중소도시: 4인 가구 44만 원
  • 농어촌: 4인 가구 32만 원

이와 같이 2025년에는 지역별로 더욱 현실적인 주거 지원이 가능하도록 기준임대료가 조정되었습니다. 특히 서울 지역의 경우, 높은 임대료 부담을 고려하여 가장 큰 폭으로 지원 금액이 증가했습니다.

2025년 자가가구 수선유지급여 지원 금액

자가가구의 경우 주택의 노후화 상태에 따라 수선유지급여가 차등 지원됩니다. 2025년에는 기존 지원 항목 외에도 단열 보강과 에너지 효율 개선이 포함되어 주거 환경의 질적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수선유지급여 지원 항목 및 금액

  • 경보수: 590만 원 (도배, 장판 교체 등)
  • 중보수: 1,095만 원 (창호 교체, 난방 시설 보수 등)
  • 대보수: 1,601만 원 (지붕 개량, 욕실 및 주방 개선 등)

또한 창문 교체, 단열재 보강 등을 통해 에너지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추가 지원이 이루어집니다. 이는 실질적인 주거 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 변화로, 기존보다 더 많은 가구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2025년 주거급여 신청 자격

주거급여는 부양의무자 기준과 관계없이 신청 가구의 소득과 재산을 기준으로 지원 대상이 결정됩니다. 2025년에는 기준 중위소득의 48% 이하인 가구가 신청할 수 있으며, 가구원 수에 따른 소득인정액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소득 인정액 기준 (월 기준)

  • 1인 가구: 1,148,166원
  • 2인 가구: 1,887,676원
  • 3인 가구: 2,412,169원
  • 4인 가구: 2,926,931원
  • 5인 가구: 3,411,932원
  • 6인 가구: 3,871,106원

위 기준을 충족하는 가구라면 주거급여를 신청할 수 있으며, 특히 생계급여 또는 의료급여 수급자의 경우 별도의 추가 신청 없이 자동으로 주거급여가 지급됩니다.

주거급여 신청 방법

2025년 주거급여 신청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두 가지 방법을 통해 가능합니다.

1. 온라인 신청

온라인 신청은 복지로(www.bokjiro.go.kr)를 통해 가능하며, 해당 사이트에서 본인 인증 후 신청할 수 있습니다.

2. 방문 신청

온라인 신청이 어려운 경우, 주민등록 주소지의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를 방문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 방문 신청 시 필요한 구비서류를 미리 준비하면 보다 빠른 처리가 가능합니다.

주거급여 신청 시 구비서류

주거급여 신청 시 다음과 같은 서류가 필요합니다.

  • 사회보장급여 제공 신청서 (행정복지센터 비치)
  • 소득 및 재산 신고서
  • 금융정보 제공 동의서
  • 임대차 계약서 또는 사용대차 확인서 (임차가구 해당)
  • 통장 사본 및 신분증

필요에 따라 고용임금확인서, 장애인 등록증, 제적등본 등의 추가 서류를 요청할 수 있으므로, 사전에 확인 후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결론

2025년 주거급여는 기준 중위소득 인상과 함께 지원 대상 확대 및 지원금 상향 조정이 이루어져 더 많은 가구가 실질적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임차가구와 자가가구 모두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신청 자격이 되는 가구는 적극적으로 신청하여 주거비 부담을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온라인 또는 방문 신청이 가능하며, 필요한 서류를 미리 준비하여 원활한 신청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합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