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우공무원수당 조견표 요약
2025년 기준으로 대우공무원수당은 각 직급(4급~9급) 및 호봉에 따라 다음과 같은 금액으로 책정됩니다. 이는 공무원 보수규정 제6조의2에 근거하여 월 지급액이 결정됩니다.
- 지급액은 기본급의 약 4.1% 수준으로 산정됩니다.
- 표는 2호봉부터 32호봉까지 제공되며, 직급별(4급~9급)로 나뉘어 상세하게 표시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 6급 20호봉 대우공무원수당은 176,180원,
- 7급 15호봉 대우공무원수당은 122,600원,
- 8급 5호봉은 90,650원입니다.
대우공무원수당의 지급 기준 요약
지급 대상
「공무원임용령」, 「공무원인사법 시행령」, 「경찰공무원 승진임용 규정」 등 관련 법령에 따라, 대우공무원으로 선발된 자에게 수당이 지급됩니다.
지급액 산정 방식
- 해당 공무원의 월봉급액(기본급)에 4.1%를 곱한 금액으로 산정.
- 성과급적 연봉제 적용자는 연봉의 78%를 기준으로, 그 외 공무원은 84% 기준 적용.
- 표에서 제공되는 금액은 위 비율을 바탕으로 산출된 정액형 수당입니다.
수당 산정 시 유의사항
- 월봉급액 초과 금지: 대우수당과 월봉급액 합산이 승인 시 최고 월봉급액을 넘을 경우 수당은 조정됩니다.
- 별도 실무관 지정자: 별도 실무관으로 지정된 경우 월 10만 원은 별도로 지급됩니다.
- 성과급적 연봉제 적용자: 강임 시 대우수당 지급 제외.
- 강등 시 수당 소멸: 강등 즉시 수당 지급 자격 상실.
- 수당 감액 지급 가능: 정직·감봉·직위해제 등 처분 시 감액 지급.





대우공무원 선발 조건 요약
임용규칙 제19조에 의거한 선발 요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근무기간 요건 (7급 예시)
- 7급 일반직공무원: 7년 이상 근무 (해당 직급에서).
- 9급→7급 승진자: 9급 근무기간 포함 시 총 11년 이상.
제외 대상
- 수습기간 중인 자
- 징계·형사처분 중이거나 그 직후 1년 이내
- 최근 근무성적 하위 등급 등 인사기준 미달자
실무요원 대우수당 관련 조항
- 별도 실무요원 지정 시 「공무원수당규정」 제28조에 따라 실무요원 수당 별도 지급.
- 강임된 공무원은 강임된 직급 기준으로 수당 적용.
- 「수당지급에 관한 규정」에 따라 수당 감산, 정지 등의 조치가 가능.
수당 감액 예시 설명
정직·감봉 등의 처분 시 수당은 월 단위로 감액되어 지급됩니다.
- 예를 들어, 2025년 5월에 감봉 1개월인 경우,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대우공무원수당은 전액 미지급되며, 그 이후는 정상 지급됩니다.
마무리
대우공무원수당은 단순한 급여 외에도 경력, 근무연수, 직무 수행 능력 등이 종합적으로 반영되어 지급되는 중요한 보수 항목입니다. 특히 승진 정체 해소 및 공무원 사기 진작을 위한 제도적 보완 장치로 작동하고 있으므로, 관련 규정을 정확히 숙지하고 자신의 경력 요건과 적용 가능성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반응형
'직업 직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한군 계급체계 - 상장, 상좌, 대좌, 중좌, 전사 복무기간 (0) | 2025.07.07 |
---|---|
2025년 공무원 봉급표 3% 인상 (0) | 2025.06.15 |
근로기준법 휴게시간, 점심시간 근로시간 포함 여부 (0) | 2025.06.06 |
1년차 연차휴가 개수 (0) | 2025.04.18 |
공무원 관내출장여비규정 (0) | 2025.03.17 |
목차
댓글